“경기도에 ‘한의약 전담 부서’ 반드시 필요 강조”
-
“경기도에 ‘한의약 전담 부서’ 반드시 필요”
경기도한의사회(회장 윤성찬·이하 경기지부)와 경기도의회(의장 염종현)는 지난 8일 의장 접견실에서 정담회를 갖고, 도청 내 한의약 전담 부서 설치 등 한의약 육성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윤성찬 회장은 “우리나라는 한의학과 양의학이라는 ‘의료 이원화 제도’를 택하고, 국민 모두에게 의료 선택권을 제공하고 있지만 양의학 중심의 보건의료행정에 의존함에 따라 한의치료를 받고자 해도 부담이 큰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윤 회장은 이어 “‘보건의료기본법’과 ‘한의약육성법’에는 한의약 발전을 위한 지자체의 의무가 명시돼 있으며, ‘경기도 한의약 육성을 위한 조례’에 근거해 담당 실·국에 한의약 전담 부서를 두도록 했다”며 “하지만 경기도에는 부서뿐만 아니라 한의약 담당 인력조차 두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윤 회장은 아울러 “도청 내 한의약 전담 부서가 설치된다면 한의약의 장점을 통해 예방 중심의 보건의료 패러다임 변화에 빠르게 대응해 의료비 절감은 물론 도민의 건강수준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며 “이를 위해 ‘한의약육성법’과 ‘경기도 한의약육성조례’에 의거한 ‘경기도 한의약 육성 지역계획’ 수립과 한의약 전담 부서의 신설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염종현 의장은 “한의 담당과는 고사하고 전담인력조차 배치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의약 정책 발전을 위한 경기도의 대응체계 수립이 아쉬운 감이 있다”며 “한의약 공공의료사업을 활성화하고 도민의 의료선택권을 넓일 수 있도록 의회가 할 수 있는 지원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답했다.
함께 배석한 김용성 도의원(더불어민주당)은 “K-방역을 넘어 K-의료의 성공 신화를 써 내려가려면 실질적 지원체계가 우선적으로 갖춰져야 할 것”이라며 “전담 부서 설치, 관련 업무 개발 등의 필요성에 공감한다”고 밝혔다.
이날 정담회에는 경기지부에서 윤성찬 회장을 비롯해 김범석 부천시분회장, 고희정 과천시분회장 등 임원진 8명이 참석했다.
한편 경기지부가 지난달 온라인 ‘경기도민청원’에 “경기도에 한의약 전담부서를 설치해주세요”라는 청원에는 게시 8일 만에 1만 명 이상의 동의를 달성하는 등 경기도청 내 한의약 전담부서 설치에 대한 큰 관심을 확인한 바 있다.
위로
목록